루 모귀의 살인자 (1932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 모귀의 살인자》는 1932년에 개봉한 영화로, 에드거 앨런 포의 소설 《모르그 가의 살인》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광인 과학자 미라클 박사가 젊은 여성들을 납치하여 원숭이의 피를 주입하는 실험을 벌이고, 탐정 피에르 뒤팽이 이를 파헤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영화는 벨라 루고시가 미라클 박사 역을 맡았으며, 개봉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나, 벨라 루고시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다. 이 영화는 이후 여러 영화와 TV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5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엑스맨 탄생: 울버린
《엑스맨 탄생: 울버린》은 2009년 개봉한 슈퍼히어로 영화로, 울버린의 기원, 이복형제와의 갈등, 팀 X 활동, 아다만티움 강화, 사랑과 희생을 다루며 흥행에 성공했고 후속작과 데드풀 시리즈에 영향을 미쳤다. - 1932년 영화 - 시인의 피
《시인의 피》는 예술가의 무의식과 초현실적인 세계를 담아 폭력, 죽음, 운명 등을 다루는 초현실주의 영화이다. - 1932년 영화 - 빨간 머리 여자
1932년 개봉한 미국의 프리코드 코미디 드라마 영화인 빨간 머리 여자는 캐서린 브러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진 할로우가 연기한 릴리안 "릴" 앤드류스의 신분 상승 야망을 그렸으며, 개봉 당시 논란과 호평을 동시에 받았지만 일부 국가에서 상영 금지되었다. - 매드 사이언티스트 영화 - 록키 호러 픽쳐 쇼
《록키 호러 픽쳐 쇼》는 1975년 리처드 오브라이언의 록 뮤지컬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트랜스베스타이트 과학자 프랭크-N-퍼터 박사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기괴하고 섹슈얼한 이야기를 다루며, 심야 상영을 통해 컬트 클래식으로 자리매김하여 장기간 상영 기록과 코스프레, 관객 참여형 상영으로 유명하고 음악 또한 큰 인기를 얻었다. - 매드 사이언티스트 영화 - 킹콩의 역습
1967년 개봉한 일본 괴수 영화 《킹콩의 역습》은 악당 과학자 닥터 후가 로봇 메카니콩을 이용해 엘레먼트 X를 얻으려다 킹콩과 격돌하는 이야기로, 고로자우루스, 대우미헤비 등 다양한 괴수가 등장하며 도쿄에서 킹콩과 메카니콩의 대결을 보여준다.
루 모귀의 살인자 (1932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Murders in the Rue Morgue |
감독 | 로버트 플로리 |
제작자 | 칼 레믈 주니어 |
각본 | 톰 리드, 데일 밴 에브리 |
원작 | 에드거 앨런 포의 1841년 단편 소설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
주연 | 벨라 루고시, 시드니 폭스, 레온 에임스, 버트 로치, 브랜든 허스트, 노블 존슨, 다아시 코리건 |
촬영 | 칼 W. 프로인트 |
편집 | 밀턴 캐러스 |
제작사 | 유니버설 픽처스 |
배급사 | 유니버설 픽처스, 다이니폰 유니버설사 |
개봉일 | 1932년 2월 10일 (RKO-메이페어 극장), 1932년 2월 21일 (미국), 1932년 7월 1일 (일본) |
상영 시간 | 62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 비용 | 186,090 미국 달러 |
2. 줄거리
1845년 파리. 광인 과학자로 불리는 미라클 박사는 자신의 독특한 진화론을 증명하려 했다. 그는 인간과 원숭이의 혼혈을 만들기 위해 젊은 여성들을 납치하여 자신이 기르는 원숭이 에릭의 피를 주입하는 끔찍한 실험을 자행했다. 실험에 실패하여 목숨을 잃은 여성들의 시신은 강물에 버려졌다.
1845년 파리를 배경으로, 광인 과학자인 미라클 박사(벨라 루고시)가 주요 악역으로 등장한다. 그는 어린 여성들을 납치하여 원숭이 피를 주입, 자신의 쇼 원숭이 에릭의 짝을 만들려 한다.
젊고 총명한 의대생 피에르 뒤팽은 약혼녀 카미유 레스파네, 그리고 친구 폴, 미그네트와 함께 미라클 박사가 운영하는 쇼를 관람한다. 쇼의 중심에는 원숭이 에릭이 있었다. 미라클 박사는 아름다운 카미유를 보고 에릭의 다음 상대로 점찍는다. 그는 카미유에게 접근하여 에릭을 가까이서 보도록 유인하고, 에릭은 카미유의 모자를 낚아챈다. 피에르가 모자를 되찾으려 하자 에릭은 그를 공격하려 들지만, 미라클 박사가 이를 제지한다. 미라클 박사는 새 모자를 보내주겠다며 카미유의 주소를 알아내려 하지만, 수상한 낌새를 느낀 카미유는 경계하며 주소를 알려주지 않는다. 그들이 떠나자 미라클 박사는 하인 야노스에게 그들을 미행하도록 지시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강에서 한 매춘부의 시신이 발견되어 시체 안치소로 옮겨진다. 이 여성 역시 미라클 박사의 희생자 중 한 명이었다. 피에르는 사건에 관심을 갖고 시신을 조사하려 하지만 영안실 관리인에게 제지당한다. 그는 관리인에게 뇌물을 주고 몰래 혈액 샘플을 얻어낸다. 혈액 분석 결과, 피에르는 피해자의 혈액에서 정체불명의 이물질을 발견하는데, 이는 이전에 발생한 다른 살인 사건 희생자들의 혈액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피에르는 이 연쇄적인 죽음의 배후에 미라클 박사가 있음을 확신한다.
한편 미라클 박사는 직접 카미유의 집을 찾아가 에릭을 다시 만나러 오라고 권하지만 카미유는 단호히 거절한다. 이에 미라클 박사는 에릭을 보내 카미유를 강제로 납치한다. 때마침 집을 나서려던 피에르는 카미유의 비명을 듣고 그녀의 방으로 달려가지만 문은 안에서 잠겨 있고 에릭은 이미 카미유를 데리고 사라진 뒤였다. 곧이어 도착한 경찰은 현장에 있던 피에르를 유력한 용의자로 체포한다. 카미유와 그녀의 어머니는 행방이 묘연했다. 경찰 조사 과정에서 이탈리아인, 독일인, 덴마크인 등 세 명의 증인은 사건 당시 카미유의 비명과 함께 알아들을 수 없는 외국어로 말하는 누군가의 목소리를 들었다고 일관되게 증언한다. 얼마 후 카미유의 어머니는 집 안 굴뚝 속에서 시신으로 발견된다. 그녀의 손에는 원숭이 털이 쥐어져 있었고, 이를 본 피에르는 에릭이 연관되었음을 확신하며 사건의 전모를 파악한다.
피에르는 경찰과 함께 미라클 박사의 은신처로 향한다. 그곳에서 에릭은 갑자기 미라클 박사를 배신하고 그를 목 졸라 살해한다. 경찰이 도착하자 에릭은 카미유를 붙잡고 건물 지붕 위로 도주한다. 경찰은 에릭의 도주를 막으려던 하인 야노스에게 총을 쏘고 에릭을 끈질기게 추격한다. 마침내 작은 부두 옆 건물에서 에릭은 막다른 길에 몰린다. 에릭은 피에르와 대치하고, 피에르는 에릭에게 치명적인 총상을 입혀 그를 사살하고 약혼녀 카미유를 구출한다. 마지막 장면에서는 시체 안치소로 미라클 박사의 시신이 운반되는 모습이 보인다.
3. 등장인물
젊고 순진한 의대생이자 탐정인 피에르 뒤팽(레온 에임스)은 사건의 중심에서 활약하며, 미라클 박사의 음모를 파헤치고 약혼녀를 구출한다. 그의 약혼녀인 카미유 레스파네(시드니 폭스)는 미라클 박사의 표적이 되어 납치당하는 인물이다.
그 외 주요 인물로는 미라클 박사의 조수인 야노스(노블 존슨), 미라클 박사의 원숭이 에릭(찰스 게모라), 피에르와 카미유의 친구 폴(버트 로치), 카미유의 어머니(베티 로스 클라크) 등이 있다. 사건의 증인으로 등장하는 이탈리아인 알베르토 몬타니(아고스티노 몬타니), 독일인 프란츠 오덴하이머(허먼 빙), 덴마크인(토르벤 메이어) 등 다양한 국적의 인물들도 극의 사실성을 더한다.
전체 출연진 정보는 『유니버설 호러』 책을 참고하였다.
3. 1. 주연
배우 | 배역 |
---|---|
벨라 루고시 | 미라클 박사 |
시드니 폭스 | 카미유 레스파네 양 |
레온 에임스 | 피에르 뒤팽 |
버트 로치 | 폴 |
베티 로스 클라크 | 카미유의 어머니 |
브랜든 허스트 | 경찰청장 |
다시 코리건 | 시체 안치소 관리인 |
노블 존슨 | 야노스 |
알린 프랜시스 | 거리의 여자(매춘부) |
찰스 게모라 | 변두리 쇼 원숭이 에릭 |
토르벤 메이어 | 덴마크인 |
아고스티노 몬타니 | 알베르토 몬타니 |
허먼 빙 | 프란츠 오덴하이머 |
3. 2. 조연
wikitext배우 | 배역 |
---|---|
버트 로치 | 폴 역 |
베티 로스 클라크 | 카미유의 어머니 역 |
브랜든 허스트 | 경찰청장 역 |
다시 코리건 | 시체 안치소 관리인 역 |
노블 존슨 | 야노스 역 |
알린 프랜시스 | 거리의 여자(매춘부) 역 |
찰스 게모라 | 변두리 쇼 원숭이 에릭 역 |
토르벤 메이어 | 덴마크인 역 |
아고스티노 몬타니 | 알베르토 몬타니 역 |
허먼 빙 | 프란츠 오덴하이머 역 |
4. 제작
로버트 플로리는 1930년 3월 유니버설 스튜디오에 처음으로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모르그가의 살인자를 영화화하자고 제안했다. 당시 드라큘라가 상영 중이었고 프랑켄슈타인이 제작 준비 단계에 있었기에, 포의 소설 각색 계획은 1931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31년 4월, 스토리 트리트먼트가 준비되었고 벨라 루고시가 주연으로 캐스팅되었다. 처음에는 스페인어 버전 드라큘라를 연출했던 조지 멜포드가 감독으로 내정되었다. 그러나 스튜디오는 멜포드를 해고하고 플로리로 교체했다. 베티 데이비스가 카미유 역할 오디션을 보았으나, 플로리에 따르면 칼 렘믈 주니어가 "성적 매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캐스팅을 거절했다고 한다.[1]
영화는 원작 소설의 내용 중 굴뚝에서 시체가 발견되는 설정과 살인자가 사용한 언어에 대한 논쟁 정도만 차용했다. 원작의 많은 부분이 루고시가 연기하는 미라클 박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각색되었는데, 플로리는 "포의 단편 소설을 강화하고 늘리기 위해 수많은 등장인물을 추가해야 했다"고 언급했다. 초기 예산은 13만달러였으나 9만달러로 삭감되었다. 플로리는 제작 과정에서 잠시 하차하기도 했으나 다시 복귀했다. 플로리는 영화의 배경을 19세기 파리로 설정하고자 했으나, 유니버설 측은 현대적인 배경을 선호하여 갈등이 있었다. 주요 촬영은 1931년 10월 19일에 시작되어 같은 해 11월 13일에 종료되었다.
당시 유니버설의 스태프 작가였던 존 휴스턴이 추가 대본 작업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휴스턴은 자신의 역할이 "포의 문체를 대본에 담으려는 시도"였다고 회고했지만, 감독이 어색하다고 판단하여 세트장에서 감독과 조수가 대사를 다시 작성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영화의 대사는 19세기 문어체와 현대 구어체가 혼재된 독특한 형태가 되었다. 배우 레온 에임스는 훗날 플로리가 "영화에 만족하지 못했지만 그에 대해 결코 이야기하지 않았다 [...] 그는 대본을 좋아하지 않았고 수정하고 싶어했지만, 스튜디오는 허락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에임스는 또한 플로리가 "그 당시에는 영향력 있는 감독이 아니었고, 그것이 그를 좌절시켰다 [...] 그는 임원들을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영화 제작은 1931년 11월 13일에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으나, 프랑켄슈타인의 상업적 성공에 힘입어 유니버설은 12월 10일부터 7일간 재촬영 및 추가 장면 촬영을 진행했다. 이로 인해 예산은 186090USD로 증액되었다.[2] 이 기간에 촬영된 장면에는 결투 장면 재촬영, 피에르와 카미유의 방에서 촬영된 새로운 장면, 5일간 진행된 옥상 추격 장면 재촬영, 셀리그 동물원의 침팬지 클로즈업 등이 포함되었다.[2] 영화 전반부의 일부 장면 순서도 이 시기에 재편집되었다.
5. 평가
개봉 당시 영화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책 ''유니버설 호러스''에 따르면 당시 평가는 "가혹"했다.
''뉴욕 타임스''의 앙드레 센발트는 영화가 "과도한 공포 연출"로 고통받고 있으며 배우들의 연기가 과장되었다고 비판했다. ''버라이어티''는 뉴욕 개봉 당시 관객들이 "결말의 허튼 소리에 야유를 보냈다"고 보도했으며, 영화를 "최대한 성적으로 자극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시드니 폭스의 연기가 지나치게 순수하여 관객의 몰입을 방해한다고 혹평했다. ''전미 비평 위원회 매거진''은 이야기는 흥미롭지만 연기가 뛰어나지 않고 원작의 공포를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뉴욕 데일리 뉴스''의 케이트 카메론은 결말 시퀀스는 칭찬했지만 전체적으로 "인위적인 스크린 이야기"라고 평했다.
반면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할리우드 리포터''는 1932년 1월 시사회 이후 로버트 플로리 감독을 "현명한 선택"이라 칭찬하고, 시드니 폭스의 외모를 칭찬했으며, 벨라 루고시의 연기에 대해 "신체적인 필요를 갖추었고, 정통 연기에 대한 훈련이 잘 되어 있어서 그의 연기가 약간 옛날 연극 냄새가 나긴 하지만, 이런 종류의 역할에는 완벽하다. 루고시는 과장된 연기를 하지만, 관객들이 좋아하게 만든다"고 호평했다. ''더 할리우드 헤럴드''의 빌 스위가트는 영화의 미적 측면과 시대 배경의 조화를 높이 평가하고 등장인물 묘사도 준수하다고 칭찬했다. 일부 비평가들은 루고시의 연기를 특히 칭찬했는데, ''워싱턴 포스트''는 그를 "새로운 스릴을 만들어낼 수 있는 위대한 배우"라고 칭했고, 영국의 ''투데이 시네마''는 루고시가 미라클 박사를 "매우 현실적인 방식으로" 연기했다고 평했으며, 케이트 카메론 역시 루고시의 "미친 범죄 의사의 암시는 효과적"이라고 언급했다.
흥행 면에서는 뉴욕 RKO-메이페어 극장에서 개봉 첫 주 2.1만달러를 벌었으나, 전국적으로는 같은 유니버설 픽처스의 ''드라큘라''나 ''프랑켄슈타인''에 비해 성공하지 못했다.
후대의 회고적 평가에서는 벨라 루고시의 연기, 칼 프로인트의 표현주의적인 촬영 기법, 로버트 플로리의 연출 등은 높이 평가받는 경향이 있다. 올무비의 패트릭 레가르는 별 다섯 개 중 네 개를 부여하며 루고시, 프로인트, 플로리를 칭찬했지만, 각본과 나머지 출연진 및 등장인물은 약하다고 평가했다. ''유니버설 호러스''의 저자들은 영화가 "낡은 연기, 어색한 대사, 감상적인 로맨스"와 함께 "결함이 있고 삐걱거리는"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니버설 호러 영화 중 가장 과소평가된 작품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언급했다. DVD 토크의 글렌 에릭슨은 이 영화를 "매우 즐거운 혼란"이라 칭하며 "어색한 연기와 논리에 어긋나는 이야기로 인해 종종 조롱받는다"고 지적했지만, 루고시의 연기가 영화의 "꿈결 같은 비현실감"에 기여한다고 덧붙였다. 레너드 말틴의 영화 가이드에서는 에드거 앨런 포의 동명 단편 소설을 영화화한 세 작품 중 이 영화를 가장 높게 평가했다. ''포트워스 스타-텔레그램''의 마이클 H. 프라이스는 1986년 TV 영화 버전을 포함한 다른 각색본들과 비교하며 플로리의 1932년 버전이 "최고로 남았다"고 평했다.
감독 로버트 플로리는 악역 캐릭터가 좀 더 잘 쓰였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표했다. 플로리는 이 영화 개봉 후 유니버설에서 워너 브라더스로 이적했다. 반면, 피에르 뒤팽 역을 맡았던 배우 레온 에임스는 이 영화를 싫어했으며, 한 인터뷰에서 "지금도 텔레비전 방송으로 나를 괴롭히는 끔찍한 영화"라고 말하기도 했다.
6. 영향 및 유산
벨라 루고시는 이 영화 이후에도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을 각색한 영화에 여러 편 더 출연했다. 대표적으로 《검은 고양이》(1934)와 《갈가마귀》(1935)가 있으며, 이 영화들에서도 그는 과학자 역할을 맡았다. 루고시는 이후 여러 영화에서 광인 과학자나 의사 역할로 자주 캐스팅되었는데, 《팬텀 크립스》(1939), 《악마 박쥐》(1940), 《시체 소멸》(1942), 《원숭이 인간》(1943), 《원숭이 인간의 귀환》(1944), 《마더 라일리, 뱀파이어를 만나다》(1952), 《괴물의 신부》(1955) 등이 그 예이다. 또한 루고시는 텔레비전 시리즈 《서스펜스》를 위해 포의 단편 소설 "아몬틸라도의 술통"을 각색하는 데 참여했으며, 라디오에서는 "폭로하는 심장"을 공연하는 등 영화 외적으로도 포와 관련된 활동을 이어갔다.
이 영화의 원작인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모르그가의 살인자"는 이후에도 여러 차례 영화화되었다. 1954년에는 워너 브라더스가 컬러 3D 영화인 《모르그 가의 유령》(Phantom of the Rue Morgue)을 제작했다.[7] 이 영화에는 1932년 원작에서 에릭(원숭이)을 연기했던 찰스 게모라가 다시 한번 유인원 역할로 출연하여 19세기 파리를 공포에 빠뜨리는 모습을 연기했다.
1971년에는 고든 헤슬러 감독이 연출한 《모르그 가의 살인》(Murders in the Rue Morgue)이 제작되었다.[8] 하지만 이 영화는 포의 원작보다는 《오페라의 유령》에 더 가까운 내용으로 각색되었다. 헤슬러 감독은 "원작 이야기의 문제점은 '원숭이'가 범인이라는 미스터리인데, 이는 더 이상 영화로 만들기 어려운 종류의 이야기"라고 언급하며 각색의 이유를 설명했다.
1986년에는 자노 슈와르츠가 감독하고 조지 C. 스콧이 주인공 오귀스트 뒤팽 역을 맡은 TV 영화 《모르그 가의 살인》(Murders in the Rue Morgue)이 제작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urders in the Rue Morgue
https://catalog.afi.[...]
American Film Institute
2020-01-15
[2]
간행물
Three Edgar Allan Poe Adaptations Starring Bela Lugosi
Masters of Cinema
[3]
웹사이트
The Murders in the Rue Morgue
https://www.allmovie[...]
AllMovie
2020-01-15
[4]
웹사이트
The Horror!! The Horror!! It's all about the Horror as Eureka reveal their July 2020 lineup
https://eurekavideo.[...]
Eureka Entertainment
2020-10-14
[5]
간행물
Three Edgar Allan Poe Adaptations Starring Bela Lugosi
Masters of Cinema
[6]
AV media
Three Edgar Allan Poe Adaptations Starring Bela Lugosi
Masters of Cinema
[7]
웹사이트
Phantom of the Rue Morgue (1954)
https://catalog.afi.[...]
American Film Institute
2020-11-12
[8]
웹사이트
Murders in the Rue Morgue (1971)
https://catalog.afi.[...]
American Film Institute
2020-11-12
[9]
Kinejun
9088
[10]
서적
20世紀アメリカ映画事典
カタログハウス
[11]
웹사이트
Murders in the Rue Morgue
https://catalog.afi.[...]
American Film Institute
2020-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